전체 글 (4558) 썸네일형 리스트형 intellij 안쓰는 import 제거옵션 File => Settings => Editor => General => Auto Import Check 'Optimize imports on the fluy' Spring Boot application.properties 속성들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application-properties.html#appendix.application-properties.core Common Application Properties docs.spring.io 위의 URL에 보면 각 속성들이 노출되어있다. Jenkins에서 Spring Batch 프로젝트를 Gradle 빌드하기 https://bokyung.dev/2021/03/30/jenkins-gradle-build/ Jenkins에 Javax.net.ssl.SSLHandshakeExecption:sun.security.validator.ValidatorException: PKIX path building failed sun.security.provider.certpath.SunCertPathBuilderException: unable to find valid certification path to requested target 에러가 났을.. 로컬 환경 Windows Docker Desktop 에 jenkins 설치 사내에 방화벽이 있다(귀찮아서 인프라팀에 안물어봄) jenkins에 plugin을 설치하려했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다. avax.net.ssl.SSLHandshakeExecption:sun.security.validator.ValidatorException: PKIX path building failed sun.security.provider.certpath.SunCertPathBuilderException: unable to find valid certification path to requested target 해결방법 Jenkins 관리 > Plugin Manager > Advanced settings > 업데이트 사이트.. jenkins에서 There were errors checking the update sites: SSLHandshakeException: PKIX path building failed: sun.security.provider.certpath.SunCertPathBuilderException: unable to find valid certification path to requested target 에러발생시 Dashboard > Jenkins 관리 > Plugin Manager > 고급 > https://updates.jenkins.io/update-center.json => http://updates.jenkins.io/update-center.json 로 변경 Spring Batch 참고 사이트 https://khj93.tistory.com/entry/Spring-Batch%EB%9E%80-%EC%9D%B4%ED%95%B4%ED%95%98%EA%B3%A0-%EC%82%AC%EC%9A%A9%ED%95%98%EA%B8%B0 Spring Batch란? 이해하고 사용하기(예제소스 포함) 들어가기 앞서.. Spring Batch에는 굉장히 많은 설정과 기능들이 존재합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기초적인 Spring Batch에 대해서 설명하고 사용하는 예제에 대해서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Spring Batch를 khj93.tistory.com 위의 사이트에서 기본적인 Spring Batch에 대해 설명하고 Sample코드를 제공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Dockerfile Sample Java11 dockerfile sample이다 FROM adoptopenjdk/maven-openjdk11 EXPOSE 8080 ARG JAR_FILE_PATH=target/*.jar COPY ${JAR_FILE_PATH} app.jar ENTRYPOINT ["java","-Dserver.port=$PORT", "-jar", "app.jar"] from절에 참조하는 jdk11 image를 가져와서 tager/*.jar에 생성된 파일을 app.jar로 복사하고 Entrypoint를 설정해 주고 있다. 위의 $PORT는 heroku에 올리기 위해서 설정한 값이다. AWS로 올릴때에는 필요가 없을것이다. Docker Desktop Memory 제한 하기 C:\사용자\로그인아이디 폴더로 이동한다 .wslconfig 파일을 하나 만든다 아래의 캡처된 화면 처럼 wsl2에 제한을 걸어둔다. [wsl2] memory=4GB processors=2 swap=0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5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