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techshare/100146897887
위에서 퍼온 기사입니다.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HKEY_LOCAL_MACHINE\SOFTWARE" 하위 키는 32비트의 경우 가상화가 적용되어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 로 나뉘게 됩니다. 따라서, 만약 위와 같은 레지스트리 설정을 x86/x64 응용 프로그램 모두에 적용하고 싶다면 위의 코드를 ConsoleApplication86.exe / ConsoleApplication64.exe 와 같은 식으로 2개의 어셈블리를 생성한 후 각각 실행해 주어야 하거나, 직접 레지스트리 키 경로를 "HKEY_LOCAL_MACHINE\SOFTWARE" 와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 로 지정해서 값을 설정해 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합니다.
혹시, 단일 exe 에서 코드를 지저분하게 만들지 않고 처리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당연히 있으니까 썼겠죠. ^^)
이전 글에서 이미 썼던 방법을 여기서도 다시 한번 써 먹을 수 있습니다. ^^
이번에도 CSharpCodeProvider 를 이용해서 이 문제를 해결해 보면... 우선 Main 코드는 다음과 같이 시작해 줄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를 담은 프로젝트는 "AnyCPU"유형으로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요. 이렇게 되면 어차피 32비트 운영체제에서는 정상적으로 DoConfig 메서드를 실행할테니 상관없고, 64비트 운영체제에서는 32비트 환경을 위해 한번 더 실행해 주는 절차를 밟게 되므로 2가지 환경을 모두 지원하게 됩니다.
본격적으로, DoConfigForX86 의 코드는 이렇게 구현해 줄 수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CSharpCodeProvider 를 이용해서 32비트 EXE 파일을 생성해 내고, 그것을 실행해 주는 것이 전부입니다. 문제는 동적으로 컴파일되는 소스 코드의 내용입니다. 일단은, DoConfig 메서드에서 실행되는 코드를 그대로 문자열로 표현해 주면 되겠지만 왠지 이런 방식은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그냥 현재 exe 의 DoConfig 메서드의 코드를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은 구조가 될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classText 의 변수에 들어가는 내용을 다음과 같이 해주면 어떨까요?
정리해 보면, CSharpCodeProvider 에서 생성하는 동적 exe 어셈블리에서 현재의 exe 파일을 참조하여 - AnyCPU 로 되어 있으므로 참조 가능 - DoConfig 메서드를 불러내면 자연스럽게 32비트 exe 프로세스로 설치 코드가 실행되는 것이므로 완벽하게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이 정도면... 깔끔하지요?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위에서 퍼온 기사입니다.
대표적인 경우로, 설치 시에 설정하는 레지스트리 작업이 있습니다. 코드로 직접 예를 들어 볼까요? 가령, 아래와 같은 코드가 '설치 과정'에서 필요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static void DoConfig(bool doInstall)
{
string keyPath = @"SOFTWARE\Microsoft";
using (RegistryKey regKey = Registry.LocalMachine.OpenSubKey(keyPath, true))
{
if (doInstall == true)
{
regKey.DeleteValue("Temp");
}
else
{
regKey.SetValue("Temp", 1);
}
}
}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HKEY_LOCAL_MACHINE\SOFTWARE" 하위 키는 32비트의 경우 가상화가 적용되어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 로 나뉘게 됩니다. 따라서, 만약 위와 같은 레지스트리 설정을 x86/x64 응용 프로그램 모두에 적용하고 싶다면 위의 코드를 ConsoleApplication86.exe / ConsoleApplication64.exe 와 같은 식으로 2개의 어셈블리를 생성한 후 각각 실행해 주어야 하거나, 직접 레지스트리 키 경로를 "HKEY_LOCAL_MACHINE\SOFTWARE" 와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 로 지정해서 값을 설정해 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합니다.
혹시, 단일 exe 에서 코드를 지저분하게 만들지 않고 처리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당연히 있으니까 썼겠죠. ^^)
이전 글에서 이미 썼던 방법을 여기서도 다시 한번 써 먹을 수 있습니다. ^^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 ; http://www.sysnet.pe.kr/2/0/1178
이번에도 CSharpCodeProvider 를 이용해서 이 문제를 해결해 보면... 우선 Main 코드는 다음과 같이 시작해 줄 수 있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 doInstall = true;
bool result = true;
if (IntPtr.Size == 8)
{
result = DoConfigForX86(doInstall);
}
if (result == true)
{
DoConfig(doInstall);
}
}
위의 코드를 담은 프로젝트는 "AnyCPU"유형으로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요. 이렇게 되면 어차피 32비트 운영체제에서는 정상적으로 DoConfig 메서드를 실행할테니 상관없고, 64비트 운영체제에서는 32비트 환경을 위해 한번 더 실행해 주는 절차를 밟게 되므로 2가지 환경을 모두 지원하게 됩니다.
본격적으로, DoConfigForX86 의 코드는 이렇게 구현해 줄 수 있습니다.
private static void DoConfigForX86(bool doInstall) { CSharpCodeProvider provider = new CSharpCodeProvider(); CompilerParameters compilerParams = new CompilerParameters(); compilerParams.GenerateExecutable = true; compilerParams.GenerateInMemory = false; compilerParams.CompilerOptions = "/platform:x86 /target:winexe"; string thisAssemblyPath = 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compilerParams.ReferencedAssemblies.Add(thisAssemblyPath); string classText = "using ConsoleApplication1; " + Environment.NewLine + "class Program" + Environment.NewLine + "{" + Environment.NewLine + ...[생략]... "}"; CompilerResults cr = provider.CompileAssemblyFromSource(compilerParams, classText); if (cr.Errors.Count == 0) { Process childProcess = Process.Start(cr.PathToAssembly); childProcess.WaitForExit(); File.Delete(cr.PathToAssembly); } } * 컴파일 하면 C:\Users\...[사용자 계정]...\AppData\Local\Temp\f4r253oa.exe 와 같은 임시 exe 파일이 생성됩니다.
보시는 것처럼, CSharpCodeProvider 를 이용해서 32비트 EXE 파일을 생성해 내고, 그것을 실행해 주는 것이 전부입니다. 문제는 동적으로 컴파일되는 소스 코드의 내용입니다. 일단은, DoConfig 메서드에서 실행되는 코드를 그대로 문자열로 표현해 주면 되겠지만 왠지 이런 방식은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그냥 현재 exe 의 DoConfig 메서드의 코드를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은 구조가 될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classText 의 변수에 들어가는 내용을 다음과 같이 해주면 어떨까요?
class Program { static int Main() { System.AppDomain.CurrentDomain.AssemblyResolve += new System.ResolveEventHandler(AssemblyResolveCallback); DoSetup(); return 0; } static System.Reflection.Assembly AssemblyResolveCallback(object sender, System.ResolveEventArgs args) { System.Reflection.Assembly asm = System.Reflection.Assembly.LoadFrom(@"D:\...[경로 생략]...\ConsoleApplication1.exe"); return asm; } static void DoSetup() { ConsoleApplication1.Program.DoConfig(true); } }
정리해 보면, CSharpCodeProvider 에서 생성하는 동적 exe 어셈블리에서 현재의 exe 파일을 참조하여 - AnyCPU 로 되어 있으므로 참조 가능 - DoConfig 메서드를 불러내면 자연스럽게 32비트 exe 프로세스로 설치 코드가 실행되는 것이므로 완벽하게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이 정도면... 깔끔하지요?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